TL;DR

k8s 설치의 대표적인 다섯 가지 방법을 비교

  • 로컬 빠른 실습 → k3d, Docker Desktop, Rancher Desktop
  • Upstream 기능 검증 → minikube
  • 운영·대규모 → Amazon EKS

Kubernetes 설치/운영 5가지 방법 비교

1. Docker Desktop 내장 Kubernetes
  • 개요: Docker Desktop(맥·윈도우) 설정창에서 Enable Kubernetes만 체크하면 싱글-노드(옵션으로 멀티-노드) 클러스터가 컨테이너로 기동
  • 장점
    • 이미 Docker를 쓰고 있다면 추가 설치 거의 없음 ― GUI에서 바로 사용
    • 여러 Kubernetes 버전을 쉽게 스위치
    • Docker 네트워크·볼륨 등 기존 툴링 재사용
  • 단점
    • 데스크톱 자원(MEM/CPU) 점유율이 높음
    • 기업 환경에선 유료 구독 요구 가능
    • 로컬 전용이므로 실제 클라우드 네트워킹과 차이
2. Rancher Desktop
  • 개요: k3s 기반 Rancher Desktop(맥·윈·리눅스)에서 버튼 한 번으로 싱글-노드 k8s. 컨테이너 런타임을 containerd·dockerd 중 선택하고, nerdctl·kubectl·helm을 함께 제공
  • 장점
    • 100 % 오픈소스·무료, 회사 라이선스 걱정 없음
    • GUI 슬라이더로 CPU/메모리/디스크 즉시 조절
    • k8s 버전 선택·변경이 간편, 최신 베타도 바로 테스트
    • Docker Desktop과 유사한 UX + 윈·맥·리눅스 모두 지원
    • “docker buildx” 대신 nerdctl/buildkit 기반 빌드 실습 가능
  • 단점
    • 아직 기능·UI가 빠르게 변동 중(안정성·문서 부족)
    • Docker Desktop과 동시 실행 시 포트 충돌 가능
    • 기업용 상용 지원(SLA)은 Rancher Prime 구독이 필요
    • 일부 윈도 환경(Wsl2)에서 네트워크 설정 제약
3. k3d
  • 개요: Rancher k3s(경량 k8s)를 Docker 컨테이너에 올려주는 CLI 래퍼. 몇 초 만에 멀티-노드 생성·삭제
  • 장점
    • 매우 가볍고 빠름(k3s + 컨테이너 조합)
    • CI 파이프라인·GitHub Actions 등에서도 손쉽게 사용
    • k3d cluster create --agents 3 → 멀티-노드 시뮬레이션 용이
  • 단점
    • k3s 경량화로 Upstream k8s와 100 % 기능 동일하지 않음
    • 커뮤니티 프로젝트(공식 SLA 없음)
4. minikube
  • 개요: CNCF 공식 로컬 k8s 툴. Driver(Docker, Podman, VM, HyperKit 등) 선택 가능
  • 장점
    • Upstream Kubernetes 그대로 빌드 → 기능 차이 거의 없음
    • 애드온(ingress-nginx, dashboard 등)을 한 줄로 활성화
    • x86·ARM 맥 모두 지원, 드라이버 선택 폭 넓음
  • 단점
    • VM Driver 사용 시 부팅 속도·자원 소모가 k3d보다 큼
    • 멀티-노드 지원은 있지만 설정이 복잡하고 느림
    • 일부 Driver(예: Podman)는 아직 실험적
5. Amazon EKS
  • 개요: AWS 매니지드 k8s 서비스. 컨트롤 플레인·ETCD·업그레이드·보안패치를 AWS가 운영
  • 장점
    • 프로덕션급 SLA, 자동 패치·백업·확장
    • VPC, IAM, ALB, EBS CSI 등 AWS 서비스와 깊이 통합
    • Fargate(서버리스)·Auto Mode 등 비용 최적화 옵션
  • 단점
    • 컨트롤 플레인 고정 월 과금 + 노드(EC2/Fargate) 비용
    • IAM·VPC·SG 등 AWS 지식 요구, 로컬 대비 복잡
    • 클러스터 생성·삭제 시간이 로컬 툴 대비 길다(수 분)

비교

항목Docker DesktopRancher Desktopk3dminikubeAmazon EKS
설치 위치로컬(데스크톱)로컬(데스크톱)로컬 컨테이너로컬 VM/컨테이너AWS 클라우드
클러스터 규모1 – 3 노드1 – 3 노드1 – n 노드1 – n 노드수십 – 수백 노드
시작 속도빠름빠름가장 빠름보통(Driver 의존)수 분
자원 사용량높음중간낮음중간클라우드 과금
Upstream 호환성높음높음(k3s 기반)중간(k3s 특유)가장 높음100 %(정식)
관리 편의성GUI 친화GUI 친화CLI 한 줄CLI 다수 옵션완전 관리형(구성 필요)
대표 용도맥북 단일 개발맥/윈/리눅스 로컬 실습CI 테스트·경량 데모기능 실습·워크숍프로덕션·스케일 아웃