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L;DR

  • Docker Desktop 로컬 개발 → kind 빠른 테스트
  • 베어메탈·VM → kubeadm으로 기본 부트스트랩 후 필요 시 Kubespray로 확장
  • 클라우드 운영 → kOps(AWS/GCP)로 완전 자동화

Kubernetes 클러스터 프로비저닝 툴 비교

  • Provisioning : 필요한 리소스 (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 등)를 할당/설치/구성해서 쓸 수 있게 준비하는 일
  • k8s cluster provisioning method : 쿠버네티스 마스터/워커 노드 구성, 네트워킹, 인증 등 전체 클러스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준비하는 다양한 방식
1. kubeadm
  • Type: Upstream CLI 부트스트랩 도구
  • 어디서 쓰나: 베어메탈·VM·클라우드 VM, Docker Desktop에서는 kubeadm 프로비저너(legacy) 선택 가능
  • 장점
  • 단점
    • IaaS 리소스(노드, LB, 네트워크)를 사용자가 직접 준비
    • Docker Desktop 기준 싱글-노드·프로비저닝 속도 느림
2. kind (Kubernetes IN Docker)
  • Type: 컨테이너-노드 로컬 클러스터
  • 어디서 쓰나: 로컬 개발·CI; Docker Desktop에서 kind 프로비저너(빠른 멀티-노드)로 선택 가능
  • 장점
    • 컨테이너 몇 초 안에 부팅 → 테스트·CI 최적
    • kind create cluster --nodes N으로 다중 노드 시뮬레이션
  • 단점
    • 컨테이너 네트워킹 특성상 대용량·퍼시스턴트 스토리지 테스트 제약
    • ECI(Enhanced Container Isolation) 보호 제한적
3. kOps (Kubernetes Operations)
  • Type: 클라우드(API) 자동화 CLI(AWS·GCP)
  • 장점
    • EC2·Route 53·ELB 등 인프라부터 K8s 롤링 업그레이드까지 코드로 관리
    • 다중 AZ/HA 구성·Add-on 자동 설치
  • 단점
    • AWS 중심(GCP 베타) → 멀티 클라우드 한계
    • CLI 학습 필요, IAM·DNS 준비 필수
4. Kubespray
  • Type: Ansible 플레이북 기반 멀티-노드 자동화
  • 장점
    • 베어메탈·온프렘·모든 클라우드 대응 ― 인프라 독립
    • Calico/Flannel, HA ETCD, Cloud Provider 모듈 등 변수화
  • 단점
    • Ansible/SSH 인벤토리 관리 지식 요구
    • 버전 업·인프라 변경 시 플레이북 충돌 가능성

비교

Tool설치 대상자동화 범위주요 장점주요 한계
kubeadm기존 노드(BM/VM), Docker DesktopK8s 부트스트랩·업그레이드공식 최단 경로, 호환성 최고IaaS 수동 준비, 로컬 싱글-노드 한계
kind로컬 컨테이너로컬 클러스터 전과정가장 빠름, CI 친화네트워킹·스토리지 제약
kOpsAWS(GCP)인프라+K8s 전과정프로덕션 HA, 롤링 업그레이드클라우드 종속, 러닝커브
Kubespray임의 IaaS/BMK8s 전과정(Ansible)인프라 독립, 옵션 유연Ansible 관리 복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