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아볼 내용

  1. 전파, 주파수
  2. 와이파이
  3. AP, 서비스 셋

전파와 주파수

  • 전파 : 약 3kHz~3THZ 사이의 진동수를 갖는 전자기파
  • 대부분의 무선 통신 기기가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이때 사용되는 전파에는 ‘주파수 대역’이 미리 정해져 있음
    1

와이파이와 802.11

  • 오늘날 LAN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은 IEEE 802.11으로 표준화
    • 802.11b, 802.11g 처럼 알파벳으로 다양한 규격 표현
    • 대부분 2.4GHz, 5GHz 대역 사용
  • IEEE 802.11 버전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뿐만 아니라 전송 속도, 대역폭, 전송 가능한 거리, 변조 방식 등 많은 것이 달라짐
표준 규격주파수 대역전송 속도
IEEE 802.11a5GHz54Mbps
IEEE 802.11g2.4GHz54Mbps
IEEE 802.11n2.4/5GHz450Mbps
IEEE 802.11ac5GHz6.9Gbps
IEEE 802.11ax2.4/5/6GHz9.6Gbps
IEEE 802.11be2.4/5/6GHz46/1Gbps
  • 와이파이 (Wi-Fi)2 : IEEE 표준을 따르는 무선 LAN 기술

    • 해당 제품이 특정 IEEE 802.11 규격을 지켰다는 것과 다른 제품과의 호환성을 알 수 있는 일종의 인증마크 역할
    • 세대 별 규격
      • Wi-Fi 7 : IEEE 802.11be
      • Wi-Fi 6 : IEEE 802.11ax
      • Wi-Fi 5 : IEEE 802.11ac
      • Wi-Fi 4 : IEEE 802.11n
  • 채널 :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여러 무선 네트워크들 간의 간섭을 막기 위해 세분화한 하위 주파수 대역

    • 일반적으로 자동 설정되지만 수동 설정도 가능함
    • 2.4GHz
      3
    • 5GHz
      4

AP와 서비스 셋

  • AP (access point) : 무선 통신 기기들을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
    • 가정에 있는 무선 공유기. 엄밀히 말하면 공유기는 원래 라우터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그 안에 내장된 무선 기능을 의미
    • 일반적으로 유선 연결 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지점이 함께 제공되어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 담당도 가능
    • 무선 LAN의 기기들은 AP를 경유해 (인프라스트럭처 모드)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서로 메시지 주고받을 수 있음
      •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: AP를 경유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
    • 하나의 AP로 구성된 무선 LAN을 BSS(Basic Service Set), 여러 AP로 구성된 무선 LAN을 ESS(Extended Service Set)이라 함
  • 서비스 셋 (Service Set) : 무선 네트워크를 이루는 AP와 여러 장치들의 집합
    • 서비스 셋 식별자 (Service Set Identifier, SSID) : 무선 네트워크를 구분짓는 수단이지 지칭하는 고유한 이름으로 각기 다른 서비스 셋을 구분할 수 있는 수단
      • 흔히 사용하는 와이파이의 이름이 SSID
  • 비컨 프레임 (beacon frame) : AP가 불특정 다수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보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
    • SSID, AP의 MAC 주소 등이 포함

Footnotes

  1. https://ballpen.blog/%EC%A3%BC%ED%8C%8C%EC%88%98-%EB%B6%84%EB%B0%B0-%EB%8F%84%ED%91%9C/

  2. 원래는 Wi-Fi Alliance라는 비영리단체의 브랜드 이름

  3. https://donotfear.tistory.com/59

  4. https://donotfear.tistory.com/59